방법들
Methods

전시장 공간을 전체 문맥으로 삼으며 관객이 직접 바퀴를 굴려 밀고, 이동시키는 과정을 거쳐 새로운 문맥을 만든다. 직접 움직이며 방향’, ‘위치’, ‘비수지 신호’등을 더해 새로운 문장의 탄생을 몸으로 경험한다.
        수어는 동사, 명사 등 품사의 구분이 없고, [~은], [~는], [~을], [~를] 등의 조사가 없이, ‘상황’, ‘문맥’, ‘비수지 기호’와 만나며 새로운 뜻을 만들어 낸다.
ex)
  •  "제가 젊은이들에게 정말 당부하고 싶은 것은"이라는 문장은, 다음의 단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젊다], [사람들], [나], [전하다], [싶다], [있다].
  • [안녕] + [맘에 들다] = 인사해서 보니 맘에 들었어
    [맘에 들다] + [안녕] = 맘에 들어서 인사했어
The exhibition space serves as the overall context, allowing the audience to roll, push, and move the wheels, creating a new context through this process. By moving directly, they experience the birth of new sentences by adding elements such as 'direction,' 'position,' and 'non-manual signals.'
       Sign language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parts of speech, such as verbs and nouns, and it operates without markers like [of], [at], and [to], creating new meanings through interaction with 'situation,' 'context,' and 'non-manual symbols.'
ex)
  • The sentence "What I really want to convey to young people is"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words: [young], [people], [I], [convey], [want], [there is].
  • [Hello] + [to like] = I greeted you and liked you.
    [To like] + [Hello] = I liked you, so I greeted you.




움직이며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Make own your sentences.

너와나
안녕
두근두근
우리
행동하다
맘에들다